반응형
안녕하세요. 오늘은 과거 아이 처방전 조회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려 합니다. 최근 아이가 투약한 약의 종류에 대해 궁금해서 찾아보았는데요. 저처럼 궁금해하실 분들이 계실 것 같아 정리해서 기록해 보려 합니다.
▶ 과거 아이 처방전 조회 국민건강보험
-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입니다. 상단 건강 모아 > 가족 건강관리 > 자녀 건강관리 > 자녀 진료 및 투약정보 > 보안문자 입력 > 조회대상 선택(아이선택) 후 조회를 클릭합니다.
- 방문한 약국을 선택하면 처방일, 약품명, 약품효능, 투약일 확인이 가능하며, 약품명을 클릭하면 약의 이미지, 성분명, 제조사, 제형, 투여경로, 용법, 용량, 주의사항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- 최근 1년간 자녀가 의료기관 및 약국을 방문한 내역으로 진료일자, 진료형태, 처방 횟수, 투약일 수 정보를 제공하며, 최근의 진료내역 및 약물정보는 바로 조회되지 않을 수 있다고 합니다.
- 저 같은 경우는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 이유는 모르겠지만 조회대상에 첫째 아이만 있었고 정작 알고 싶었던 둘째 아이는 조회대상에 없어서 다른 곳을 이용했습니다.
▶ 건강보험심사평가원
- 바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였습니다. 상단 조회신청> 내가 먹는 약! 한눈에 클릭 > 본인 인증 > 투약이력 조회 > 하단 아동목록 중 아이 이름 클릭 > 아동 목록 하단으로 아이의 투약이력 확인이 가능합니다.
- 조제일자, 처방기관(병원), 조제기관(약국)으로 투약이력이 나오는데, 병원 또는 약국을 클릭하면 처방받은 약의 제품명, 약효분류, 성분명, 약품코드, 단위, 1회 투약량, 1일 투여 횟수, 총투약일 수 등이 보이고, 병원을 클릭하던 약국을 클릭하던 내용은 같았습니다.
- 내용 중 제품명을 클릭하면, 약에 대한 이미지, 의약품명, 영문의약품명, 제조회사, 성분, 함량, 포장단위, 규격, 효능, 저장방법 등 국민건강보험에서 조회되는 내용보다 더 자세하게 나오는 것 같았습니다.
- 건강보험심사평가원도 1년간의 의약품 투약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, 진료는 받았지만 약을 조제받지 않은 경우 또는 처방 조제 후 약국 등에서 데이터를 넘기지 않은 경우엔 조회결과가 나오지 않는다고 합니다.
- 실제 처방, 조제, 복용 내역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과거 아이 처방전 조회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.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.
2025 아이 병원 처방약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는 정보
2025년 정부는 국민 건강권 보호를 위해 처방전조회 시스템을 대폭 강화했습니다. 최신 정책에 따라 약제별 급여 기준이 명확해지고, 비급여 내역까지 투명하게 관리되어 국민 누구나 자신의 처
naeunyy.com
반응형